최근 자동차 시장의 화두 중 하나는 폭스바겐 사건일 것입니다. 2015년 폭스바겐이 만든 차량에서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가 기준치의 40배가 발생하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폭스바겐은 배기가스를 조작하여 그 값을 속여 왔습니다. 폭스바겐 사건 이후 많은 사람들이 친환경 차량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친환경 차량 중 하나인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해서도 많은 분들이 관심이 있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하이브리드 차량을 구매하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으니 하이브리드 차량 구입을 고려하고 계신 분들은 참조하세요.
1. 하이브리드 자동차 구매 보조금 |
하이브리드 자동차 구매 보조금은 하이브리드 차량을 구매할 시 10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모든 하이브리드 차량이 100만원의 금액을 지원 받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지원조건을 갖춘 차량만 지원이 된다고 합니다.
2015.1.1 이후에 출고된 신규차량 &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97g/km 이하인 하이브리드차
CO2배출량 50g/km 이하 및 1회충전주행거리 30km이상을 동시에 충족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위의 조건을 봐선 어떤 차량들이 해당하는 지 알기 어려운데요, 정부 사이트에서 공시한 차량 브랜드별 차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브랜드 | 차량명 |
현대자동차 | 쏘나타 2.0GDI 하이브리드,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SONTATA PLUG-IN HYBRID), 아이오닉 하이브리드 |
기아자동차 | 니로 1.6GDI 하이브리드, K5 하이브리드 |
토요타 | 프리우스(PRIUS), 프리우스(PRIUS V) |
렉서스 | CT200h |
포드 | 퓨전(Fusion Hybrid) |
다음은 보조금을 신청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http://hybridbonus.or.kr/로 들어가 로그인해줍니다. 다음 구매자동차 정보등록 및 보조금을 신청합니다. 구비해야할 서류는 보조금신청서 1부, 자동차등록증 사본 1부, 본인명의 통장사본 1부입니다.
2. 하이브리드 자동차 세제감경 |
하이브리드 차량의 또 다른 혜택은 세제감경입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구매할 시 세제혜택이 있으니 지역마다 다르긴 하나 최대 받을 수 있는 세제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환경개선부담금 면제 / 개별소비세와 교육세 최대 130만원 감면 / 취등록세 최대 140만원 감면 / 도시철도채권 구입액 최대 40만원을 감면해준다고 합니다.
3. 혼잡통행료 및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감면 |
또 다른 혜택은 혼잡통행료 및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감면입니다.
서울특별시는 서울특별시 혼잡통행료 징수 조례에 따라 혼잡통행료를 징수하는데요. 하이브리드 차량은 2종 저공해자동차에 해당하여 전액 면제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혜택을 받으려면 전자태그를 부착하여야 된다고 하니, 전자태그를 부착하여 혜택 놓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공영주차장 요금도 감면을 받을 수 있는데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역 | 공영주차장 요금 |
서울특별시 | 50%감면(공영 주차장) 80%감면(지하철 환승 주차장) |
인천광역시 | 20% 감면 |
경기도 | 50 ~ 60% 감면 |
이렇게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구입하면 3가지의 혜택이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차량을 구입 시 다소 높은 가격에 구입해야하지만, 보조금과 세제혜택을 잘 이용한다면 차량 구입과 차량 유지에 많은 돈이 들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차량 혜택을 잘 숙지하여 환경도 지키고 금전적 이익도 얻을 수 있습니다.